반응형
규모가 있는 프로젝트에서의 데이터 조회는 FK의 조인, 복잡한 조건 등으로 인해 이런 Entity 클래스만으로 처리하기 어려워 조회용 프레임워크를 추가로 사용합니다. 대표적 예로 querydsl, jooq, MyBatis 등이 있습니다. 조회는 위 3가지 프레임워크 중 하나를 통해 조회하고, 등록/수정/삭제 등은 SpringDataJpa를 통해 진행합니다. 개인적으로 querydsl을 추천 합니다.
Querydsl을 추천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타입 안정성이 보장됩니다.
단순한 문자열로 쿼리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, 메소드를 기반으로 쿼리를 생성하기 때문에 오타나 존재하지 않는 컬럼명을 명시할 경우 IDE에서 자동으로 검출됩니다. 이 장점은 Jooq에서도 지원하는 장점이지만, MyBatis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 - 국내 많은 회사에서 사용 중 입니다.
쿠팡, 배민 등 JPA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회사에서는 Querydsl을 적극적으로 사용중 입니다. - 레퍼런스가 많습니다.
앞 2번의 장점에서 이어지는 것인데, 많은 회사와 개발자들이 사용하다보니 그만큼 국내 자료가 많습니다.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여러 커뮤니티에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 입니다.
반응형
'G.Code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g.junit.test 에러 (0) | 2021.05.14 |
---|---|
Properties Editor 설치방법 (0) | 2021.05.13 |
Spring Boot의 핵심 요소 (0) | 2021.05.07 |
롬복(lombok)이란? & 롬복 어노테이션 (0) | 2021.05.06 |
자동 컴포넌트 스캔 (0) | 2021.05.06 |